학생 때나 직장 다닐 때 국경일 휴일이 많아서 가장 좋았던 달이 10월이었던 것 같아요. 10월 1일은 국군의 날, 10월 3일은 개천절 , 10월 9일은 한글날 주 6일 근무하고 토요일에도 학교 가던 옛날 옛적 시절에는 10월 1일 국군의 날도 공휴일이었지요.
국경일과 추석 연휴로 휴일이 많은 10월
추석 명절이 보통 10월 즈음에 돌아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10월에 모여있는 공휴일로 인한 잦은 휴일이 산업 발전에 저해된다는 이유로 1991년부터 10월 1일 국군의 날과 10월 9일 한글날이 함께 한 동안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던 기간이 있습니다.
국군의 날은 여전히 공휴일은 아니지만 이후 한글날은 2013년부터 다시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어 다시 5대 국경일 중 하나로 승격되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5대 국경일은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입니다. 국경일이란 국가의 경사로운 날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축하할 날이에요.
이러한 국경일에는 "대한민국 국기법"(법률)에서 전 국민이 국기를 다는 날로 정하고 있으며, 제헌절을 제외한 국경일은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따른 공휴일입니다. (제헌절은 2008년부터 공휴일에서 제외됨)
태극기 그리기 숙제
국경일이 다가 오면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 다니는 학생들은 집에서 태극기 달기, 태극기 그리기, 태극기 만들기 등의 숙제를 받아오기도 하더라고요. 저도 초등학교 시절 학교에서 처음 배웠던 것 중 하나가 태극기 그리기였던 것 같은 기억이 있습니다. 사실 태극기의 모양에 대해 평소에 진지하게 머릿속에 그려볼 일이 별로 없어요. 학생 때는 교실에도 있고 교과서에도 있고 해서 그나마 친숙했던 것 같은데, 지금은 아이들 숙제 도와줄 때 한 번씩 찾아보게 됩니다.
태극기 그리기의 정확한 규격
아래는 행정안전부 누리집에 게재되어있는 태극기의 정확한 규격입니다. 태극기의 형태와 함께 색상 또한 정확하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인쇄 관련 업무 관련이 아니라면 이러한 정확한 비례와 색상표 까지는 필요가 없겠지만 참고로 알아두시면 좋겠죠.
유치원, 초등학생 자녀들의 숙제를 위해 이 페이지를 방문하신 분들을 위해 태극기 도안 일러스트 파일 AI, JPG, 태극기 색칠공부 JPG PDF 파일을 공유합니다. 필요하시면 마구마구 퍼가셔도 되고요.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태극기 정확하게 그리는 방법
끝으로 태극기 모양 왠만하면 안 잊어버리는 방법 하나 알려드립니다. 저도 아이들에게 태극기 모양 태극문양과 건곤감리의 위치에 대해 설명할 때 항상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태극기의 건곤감리와 태극기의 의미에 대해서 까지는 정확히 모르더라도 태극기의 모양을 정확하게 그릴 줄 알야겠죠. 태극기의 건곤감리의 모양이 헛갈린다면 태극기 바탕의 N자 모양으로 3,4,5,6으로 기억하면 쉽습니다.
아이들의 경우 태극무늬도 거꾸로 그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태극기의 모양은 우리나라 지도에서 남북이 갈라진 형상을 연상하면 좋습니다. 경기도는 낮고 강원도 쪽은 높죠. 색상 또한 북쪽은 붉은색! 남쪽은 남쪽 바다 파란색! 이렇게 기억해 두시면 갑자기 아이가 태극기 그려달라고 펜을 내밀어도 당황하지 않고 알려줄 수 있을 거예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