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신 접종 후 타이레놀 대신 복용 가능한 진통제의 종류

by 다능인김씨 2021. 6. 13.

타이레놀 종류
타이레놀의 종류와 대체약품 알아보기

타이레놀 품절사태

백신 접종 후 불편 증상시 타이레놀과 같은 진통제를 복용하라는 질병관리청의 말로 타이레놀의 품절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고 하네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타이레놀은 상품명이고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계열 해열진통제의 대표주자입니다. 이와 대치되는 대표 해열진통성분으로 이부프로펜, 그리고 이부로펜의 단점을 보완한 덱시부프로펜  계열이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에서 브리핑에서 공식적으로 "타이레놀과 같은..." 이란 표현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사람 심리라는 것이 왠지 다른 진통제보다 타이레놀을 찾게 되는 것 같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고, 없다고 하면 더 사고 싶어지는 사람 마음 같습니다.

 

타이레놀 음주 전후 복용하면 건강에 해롭습니다.

또한 정보 검색에 취약한 계층분들은 대체제를 생각하기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은 인체 내에 통증을 전달하는 프로스타글라딘의 생합성을 방해하여 진통효과를 나타낸다고 하는데 그 작용 기전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고 하네요. 일반인 입장에서 그런 정보까지 알아야 할 것은 없겠습니다만 아세트아미노펜 성분 타이레놀 복용 시 가장 일반적인 주의 사항은 음주시나 전후에는 절대 절대 복용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약 복용 후 8시간 이내에 음주를 한다던가 음주 중에 그리고 음주 후 숙취해소를 위해 타이레놀은 복용한다면 간 손상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이레놀과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여러 약을 동시에 과다 복용할 시에 복용 시 간 손상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의 일일 권장 섭취량은 4000mg이니 타이레놀 500mg 기준 하루 8정 이상 복용하면 안 되겠네요.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약 종류

그럼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시판 약들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식약처에 따르면 시판 중인 아세트아미노펜 해열진통제는 무려 70종에 이른다고 합니다. 정말 처음 보는 제품 이름도 너무나 많네요. 

 

식약처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약
식품의약품 안전처 
식약처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약
식품의약품 안전처 


타이레놀 대체 약 

위 목록 중에서 그나마 이름이 익숙한 몇 가지 제품들만 추려 보았습니다. 이름 또한 처음 들어보는 것들도 많은데, 아마도 이 정도는 많이들 익숙하실 것 같습니다. 용량 표시를 잘 보시고 복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게보린정 (300mg)
펜잘큐정(300mg)
암씨롱큐(300mg)
마하펜연질(325mg)
타메노펜(325mg)
게보린쿨다운정 (400mg)

타이레놀의 종류

의약품 안전나라에 검색되는 타이레놀의 종류만도 10가지가 됩니다. 아마도 약국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제품은 타이레놀 500, 우먼스 타이레놀, 타이레놀 이알 서방정 정도일 것 같은데요.

 


어린이용타이레놀정80mg
어린이타이레놀산160mg
어린이타이레놀현탁액
우먼스타이레놀정
타이레놀8시간이알서방정325mg
타이레놀8시간이알서방정
타이레놀정 160mg
타이레놀정 500mg
타이레놀콜드 에스정
타이레놀피엠정

 

  • 타이레놀 500 은 10정이 들어가 있는 타이레놀 대표 제품입니다. 보통의 경우 통증의 상태에 따라 1알 2알 정도 복용하게 됩니다. 
  • 우먼스 타이레놀의 경우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이 생리통에 특화된 제품이고요. 아세트아미노펜의 함량이 672mg으로 조금 높으며 파마브롬 성분 추가로 이뇨작용이 있어 생리통시 부종완화에 효과가 있다고 하네요.
  • 타이레놀 8시간 이 알 서방정 325mg의 경우는 서방정 유효 성분이 서서히 방출되도록 만든 알약입니다. 8시간 동안 약효가 몸에 서서히 흡수되기 때문에 급성 두통과 같이 급작스런 통증보다는 근육통 관절통 등 지속적인 통증에 알맞은 약이라고 합니다. 

그동안 그냥 타이레놀 주세요 하고 받아왔던 약인데요. 기본적인 성분은 같지만 각각의 상황에 특화된 제품들이 있으니 약국에서 구매 시 본인의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